본문으로 바로가기

수치해석: 수치해석 시작

category Fundamentals/수치해석 2020. 2. 21. 16:23
반응형
수치해석을 시작하며...

근래에 들어 수학적 접근을 통해 뭔가를 해결해야 하는 일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아주 기본적인 수준이지만, 나름 수학에 관심이 있다 싶어 머리 싸매고 덤벼들었는데,
단순 해석적 방법으로 접근하는데 한계를 크게 느끼기 시작했다.

사실, 과거 수치해석 과목이 지나치게 어렵다고 느끼다보니,
수치해석 자체에 흥미를 크게 잃어서 낙제만 간신히 면할 정도로만 공부했었다.
그러서 실무에 수치해석을 적용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언감생심에 가까웠고,
이런 수학적 접근이 필요한 문제와 마주하게 되었을 때, 이런저런 핑계로 문제를 회피하는 일이 다반사였다.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늦은 감이 있지만, 다시 한번 수치해석이라는 학문에 도전해보려고 한다.
그래서, 수치해석의 첫 번째 시간으로, 수치해석은 무엇이고, 왜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해 좀 끄적여보려고 한다.


지금까지 커오면서 산수라 불리웠던 셈법을 익히는 과정부터
숫자와 여러가지 기호를 이용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풀어가는 과정까지,
상당히 긴 시간 동안 수학이라는 학문을 배우고, 익히며, 나름 생활에 적용도 시켜오고 했었다.
물론, 이 시간 동안 배우고 익혀온 수학도 쉬웠다는 뜻은 아니지만,
무엇인가를 해석하고, 설계해서 값어치가 나가는 것들을 만들어내는 공학의 범위 안에서는
그 나름대로 어렵고 복잡한 문제들과 마주하는 상황을 만들어내었다.
특히나, 직접 연습장에 연필로 끄적이며 풀기에는 너무나도 복잡한 연산의 연속이다보니
컴퓨터와 같은 계산기를 활용해서 어떤 식의 해를 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에게 어떻게 명령을 내려서 원하는 해를 구하게 만들 것인지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수치해석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과
복잡한 해를 구하는데 활용되는 여러 다양한 수치적 접근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어떻게 프로그램에 적용시키는지에 대해서 차근차근 알아가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