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Python: List

category Programming/Python 2020. 12. 17. 14:01
반응형

LIST

 

FOR문에 관한 내용 중, 반복의 범위를 결정하는 순회 가능 객체를 언급하는 과정에서

리스트에 대한 내용이 잠시 소개되었었다.

리스트는 다른 정적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배열에 해당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대괄호 ([ ])를 이용해서 표현한다.

 

파이썬에 관한 내용을 설명하는 책들을 보면,

리스트는 항상 튜플과 딕셔너리, 그리고 셋과 함께 설명되는 양상을 보인다.

다른 데이터 타입에 관한 내용들도 따로 포스팅하겠지만,

튜플이나 딕셔너리와 같은 내용을 지금 굳이 이야기하는 이유는

괄호에 관한 내용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대표적인 정적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인 자바의 경우에는 배열을 선언할 때,

데이터 타입 뒤에 대괄호를 붙여줌으로써 지금부터 선언되는 변수는 배열임을 알려주고,

배열의 원소들은 중괄호 ({ })를 이용하여 묶어준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파이썬에서는 리스트와 관련된 모든 것들이 대괄호를 이용해서 표현된다.

만약 중괄호를 사용한다면, 셋이라는 전혀 다른 타입의 변수로 선언된다.

바꿔 말하면, 별도의 변수 선언 과정이 생략되는 파이썬에서는

데이터를 할당할 때 어떤 괄호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초기화하는지에 따라

타입이 완전히 변경된다는 의미이다.

 

 

 

리스트가 배열의 카운터파트라는 점에서

원소에 접근하는 방법도 배열에서의 방법과 비슷하게 접근한다.

다만, 다른 언어와 비교했을 때 특이한 점이 있다면,

배열의 원소를 반대 방향으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은 범위를 지정한 접근도 가능하다는 점이다.

 

 

위 그림은 리스트의 일부를 변경하는 예제 프로그램으로,

대괄호 내부에 접근할 원소의 범위를 정의하면 된다.

 

예제 프로그램에서는 1:3이라고 지정하였는데,

이 범위는 FOR문에서 range 함수를 사용했을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범위를 지정하게 된다.

따라서, 1번과 2번 인덱스의 원소를 지정하였다는 의미이고,

그 부분의 원소를 다른 값으로 대체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반응형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Set  (0) 2021.01.02
Python: Tuple  (0) 2021.01.01
Python: Break & Continue  (0) 2020.12.14
Python: WHILE문  (0) 2020.12.10
Python: FOR문  (0) 2020.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