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적 언어인지, 동적 언어인지와 관계 없이
기계가 처리할 작업들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작성하는 프로그래밍에서
상황에 따라 처리할 내용을 구분하는 용도의 제어문도 중요하지만,
조건에 따라 정해진 프로그램 코드를 반복 실행하도록 만들어주는 반복문도 아주 요긴하게 사용된다.
FOR문
파이썬도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IF문을 통해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 여부를 제어했다면
반복문에 대해서도 FOR문과 WHILE문을 지원한다.
정말이지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서로서로 많은 부분이 닮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ㅎㅎ
오늘은 그 중에서 FOR문에 관한 내용을 한번 알아보자.
FOR문은 위 그림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순회 가능 객체라고 부르는 부분은 파이썬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타입인,
리스트나 문자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리스트에 대해서는 다른 포스팅 글을 통해 좀 더 자세히 다뤄볼 예정이다.)
그래도, FOR문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리스트에 관한 내용을 짧게나마 이해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위 그림은 FOR문에 대한 간단한 예제 프로그램을 보여주고 있는데,
FOR문에서 함께 사용되는 키워드인 in 다음에 중괄호로 묶여 있는, 1부터 5까지의 숫자가 바로 리스트이다.
결국, 예제 프로그램의 FOR문과 함께 사용된 제어 변수인 iIndex01에
리스트로 정의된 1부터 5까지의 값이 한 번씩 할당되는 동안
2번 라인의 print 명령이 총 5번 실행되고, 그래서 별표가 5번 출력되는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렇다고, 항상 FOR문을 사용하기 위해 위 그림과 같이 리스트를 정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FOR 반복이 진행되는 동안 위의 그림과 같이 제어 변수가 활용되는 경우라면 상관 없지만,
단순히 반복의 횟수만을 결정하는 용도로 제어 변수가 활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럴 때마다, 의미 없이 리스트나 튜플과 같은 순회 가능 객체를 정의한다는 것은
누가 봐도 미련한 짓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럴 때는 range 함수를 이용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range 함수는 위 그림의 문법에 따라 사용할 수 있고, 위 예제 프로그램과 같이, 증감값은 생략될 수 있다.
(생략되었을 때, 증감값은 1이 된다.)
이렇게 range 함수를 이용해서 반복의 횟수를 결정하게 되면,
제어 변수는 range 함수에서 정의된 종료값의 직전 값까지 할당 받으면서 반복이 진행된다.
끝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공부할 때
반복문과 관련하여 아는 사람으로부터 받았던 아주 간단한 문제 하나를 만들어보면서
FOR문에 대한 글을 마친다.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Break & Continue (0) | 2020.12.14 |
---|---|
Python: WHILE문 (0) | 2020.12.10 |
Python: IF문 (0) | 2020.12.02 |
Python: 문자열 데이터 타입 (0) | 2020.11.27 |
Python: 실수형 데이터 타입 (0) | 2020.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