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저
페이저지금까지 교류 회로에 대한 해석을 진행할 때, 전압이나 전류를 사인 함수가 적용된 순시값으로 표현했었구요. 수동 소자들의 동작 특성 또한 사인 함수 그대로 해석을 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미분과 적분을 해주는 상황이 번갈아 가면서 나타나다 보니, 미적분을 아직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교류 회로 자체가 해석하기 상당히 어려운 난제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영국의 공학자인 올리버 헤비사이드는의 식이 성립한다는 것에서 출발하여,라는 수학적으로는 말도 안되는 내용이지만, 각 소자의 특성을 해석하는 식의 미분 파트에 대입해서,와 같이 정리한 다음에, 이들을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에 적용해서와 같은 복소수 형태의 임피던스를 유도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런 복소 임피던스는실수 축이 x축이고, 허수 축이 y..